목차

오늘의 TIL 순서는

  1. 시작전 마음가짐
  2. JIRA, GITHUB 특강
  3. Streamlit 구현

시작전 마음가짐

오늘은 진짜 전체적으로 streamlit을 팀과제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생각입니다.

 

중간에 특강이 하나 있는데 이 특강도 확실하게 습득하겟습니다.

 

그럼 학습을 시작하겟습니다


JIRA, GITHUB 특강

JIRA특강을 듣고 현재 팀 과제에는 적용하면 좋겟지만 당장 적용하기에는 진행 되어있는 부분이 많아 진행하지 않을것입니다.

 

왜냐하면 팀 내부적으로 github의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같이 학습한 사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음 프로젝트부터는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좋을거같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github랑 여결하는 부분이 애매하게 이해가 되어서 다음에 한번더 복습을 진행해야할듯 합니다

.


Streamlit 구현

본격적으로 팀과제에 도입을 하고싶어서 프론트엔드를 맡은 팀원과 상의해서 진행 방향을 정했습니다.

 

특강도 듣고 따로 학습을 진행했지만 모델에 연결하는 부분이 미흡하다는 생각으로 각자 학습을 통해 이해한 부분을 공유하고 다음 진해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하였습니다.

 

오늘 학습을 마무리하며 공유를 했는데 어떤 부분에 이 코들를 넣으면 좋을지 즉, 아직 모델을 연결하는 부분까지는 구현 못해서 각자 어떤 세션을 구현할지 이야기를 나누었구요 그런데 제가 맡은 부분이 약간 도전과제 부분이라 확실하게 팀원들의 의견을 들어도 정해지짖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필수과제를 구현하는건 팀원분이고 저는 도전 과제를 구현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새롭게 학습한 부분이 많지만 과제를 ㅇ어떻게 진행할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조금더 깊게 그리고 기한에 맞게 생각하고 행공해야하지만 욕심을 버리기 어렵습니다.

 

프론트엔드 팀원끼리 정한 부분과 팀 전체적으로 정한 부분이 어긋났기 때문입니다.

 

다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게 처음이라 기획을 맡은 사람이있는게 아니라 진행상황을 보며 토론을 통해 진행을 계속 수저하고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기획이라는 부분이 중요하는걸 깨달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